‘수유리 광복군 17위’ 합동 봉송식

- 대전국립묘지 안장, 광복 77년만에
- "조국 독립 위해 희생하신 분들 끝까지 기억"

 

조국 독립을 위해 일제와 싸우다 순국하여 서울 수유리 광복군 합동묘역에 안장됐던 광복군 선열 17명이 광복 77년 만에 국립묘지에 영면한다.

 

국가보훈처는 광복절을 하루 앞둔 14일 오전 10시 30분 서울현충원 현충관에서 수유리 애국선열 17위의 합동봉송식을 거행한 후 오후 4시 국립대전현충원에서 합동 한장식을 거행한다고 밝혔다.

 

17명의 독립운동가 합동 안장은 건국 이래 최대 규모다.

합동 봉송식과 안장식에는 수유리 광복군 선열 중 백정현 지사의 조카 백공수 씨, 이도순 지사의 외손 김대진 씨, 이한기 지사의 종손 이세훈 씨 등과 한국광복군기념사업회 등 광복군 후손들이 참석했다.

 

합동 봉송식은 개식선언, 국기에 대한 경례, 영현(英顯)에 대한 경례, 광복군 선열 공적사항 영상 상영, 헌화 및 분향, 건국훈장 추서, 추모사, 추모공연, 폐식선언, 영현 봉송, 영현 전송 순으로 이어졌다.

 

이에 윤석열 대통령이 주빈으로 참석해 충열대와 광복군 김천성·이재현 묘소에 참배하고 17위 영현에 헌화하고 추모사를 낭독했다.윤 대통령은 추모사에서 "우리가 마음껏 누리는 자유는 일제강점기의 암울한 현실과 절망 속에서도 오직 자유와 조국의 독립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초개와 같이 던진 분들의 희생 위에 서 있는 것"이라며 "조국의 독립을 위해 이름도 남김없이 쓰러져갔던 영웅들을 우리가 끝까지 기억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봉송식 후 선열 17위 영현은 국방부 의장대와 경찰 호위 속에 영현별 봉송차 1대씩 총 17대로 서울현충원에서 대전현충원으로 이동했다. 광복군 17위는 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7묘역에 조성된 '수유리 한국광복군 합동 묘역'에 개별 안장됐다.참배단에는 17위의 이름과 공적, 수유리 한국광복군 묘비에 각인되어 있던 비문이 함께 새겨졌다. 

 

이날 대전현충원에 영면한 광복군 17위 중 김유신(1991년·애국장), 김찬원(1991년·애국장), 백정현(1991년·애국장), 이해순(1991년·애국장), 현이평(1995년·애국장), 김순근(1990년·애족장), 김성률(1991년·애족장), 김운백(1991년·애족장), 문학준(1991년·애족장), 안일용(1991년·애족장), 전일묵(1991년·애족장), 정상섭(1991년·애족장), 한휘(2022년·애족장), 이한기(1990년·애족장), 이도순(1990년·애족장) 등 13명은 중국 지역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다 순국했다.

이한기(1990년·애족장), 이도순(1990년·애족장), 동방석(1990년·애족장), 조대균(1990년·애족장) 등 4명은 광복 후 국내 등에서 세상을 떴다.

 

윤종진 국가보훈처 차장은 추모사에서 "광복군 17분의 선열은 대부분 젊은 나이에 순국하시고 후손도 없어 그간 서울 수유동 북한산 기슭에 안장돼 계셨다"며 "정부는 그동안 국회 차원의 관리와 예우를 해줬으나 모자람이 많았다"고 말했다.그러면서 "국내외 아직 발굴하지 못한 독립운동의 역사와 기록들을 하루라도 빨리 찾아서 체계적으로 관리하겠다"며 "국립묘지뿐만 아니라 국가유공자 합동묘역 후손이 없는 전물군경 묘소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한편 수유리 합동묘소는 광복 후 애국선열을 위한 별도의 국립묘지가 없어 조계사 등에 임시 안치된 독립 운동가를 수유리에 안장하면서 1961년 조성된 곳이다.대부분의 선열이 미혼일 때 전사해 후손이 없어 그동안 국립묘지로 이장이 이뤄지지 않았다.

 

이 · 상 · 만 <취재기자>

핫 뉴스 &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