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절 기념사, 닷새 후에 발표된 일제(日帝) 강제 동원에 대한 배상안, 그 뒤를 이은 정상회담... 세간(世間)에 말이 넘친다. 이 나라 ‘국민’들은 상념(想念)에 잠길 수밖에 없다. 갈 길이 멀다는 느낌이 온다. 현시점에서 평가는 너무 이를지도 모른다. 그런데... “강제징용 배상 청구권은 누구도 침해할 수 없는 인권이다. 피해자 동의 없는 ‘제 3자 변제’는 명백한 위법... 그런데도 윤석열 정권은 ‘대위 변제’를 강행한다. 일본 비위만 맞춘다면 무슨 일이든 하겠다는 굴욕적 태도... 강제동원 배상 해법과 지소미아(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원상복구를 통해서 한일 군사협력의 길로 나아가고 있다... 한반도에 항구적 위협이 될 일본의 군사 대국화와 평화헌법 무력화에 동조하는 것...” ‘대장동의 대장’ 목소리가 귀청을 찢을 듯하다. 흔히 죽창가(竹槍歌)를 부른다고들 한다. 일인(一人) 일(一) 스마트폰, 반도체와 인공지능... 전투기와 드론이 충돌하는 시대다. 죽창(竹槍)을 들자고 한다. 날아오는 핵미사일도 잠자리채로 낚아채면 된다고 우길 태세다. 그런가 하면... 그 ‘대장’이 이끄는 무리와 이 나라에 그저 거주하는 ‘주민’(住民)들은 계속
북한 김정남의 장남 ‘김한솔의 행방’은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김한솔은 아버지 김정남이 피살된 후 자유조선(구 천리마민방위)을 통해 구출되었으며 위협으로부터 도피하여 미국 정부의 신변 보호를 받고 있다. 미국 정부 보호 아래 행방이 묘연한 그가 앞으로 어떻게 등장할지, 등장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 집중해 볼 필요가 있다. 2년 전 김한솔이 미국 워싱턴 근교 맥클린에 있는 쉐이크쉑버거 매장에서 목격됐다는 기사가 보도된 적이 있다. 하지만 이 목격담은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한솔이 미국에 있다는 보도와 추측이 많지만, 한 곳에만 머물게 되면 위험에 노출되기 때문에 여러 거처를 옮겨 다니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철저한 비밀에 부쳐진 김한솔의 행적은 아무도 단정할 수 없다. 최근 김한솔의 근황을 파악한 국정원에 의하면 김한솔은 안전한 상태에 있지만, 갇혀 지내는 생활에 대한 답답함과 아버지 죽음에 대한 원한으로 매우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분석이 전해졌다. 통제받고 있는 생활과 원한으로 생긴 복수심 사이에서 갈등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과거에 그는 유튜브와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자신의 신념과 가치관을 드
호숫가를 거닐다 보면 부패한 고기가 떠오른 것을 간혹 볼 수 있다. 자세히 보면 부패 정도가 심해서 그냥 가라앉아 있지 못하고 떠오른 것이다. 부패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작은 고기는 자중(自重)에 의해 바닥에 가라앉은 채 떠오르지 않고서 사라져가지만, 부패가 심한 고기는 반드시 떠올라 그 모습을 드러내 보인다. 성현들은 언행이 일치하지 않는 표리부동의 인간들과는 사귀지 말라고 하였다. 그것은 “근주자적(近朱者赤) 근묵자흑(近墨者黑)”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고려의 충신 정몽주의 노모는 “까마귀 싸우는 곳에 백로야 가지마라. 성낸 까마귀들이 너의 흰빛을 시샘하나니 맑은 물에 깨끗이 씻은 몸을 더럽힐까 하노라.”며 아들이 부패하지 않고 바른 길로 가게 하였다. 조선의 공신 이직은 “까마귀 검다 하고 백로야 웃지 마라. 겉이 검은들 속조차 검을 소냐, 아마도 겉 희고 속 검은 것은 너뿐인가 하노라.”고 부패한 위선적 충신(?)을 질책하였다. 이는 모두 부정을 삼가고 언행에 모순이 없기를 바라며 심저(心底)에 부패가 들지 않기를 바란 것이다. 그런데 지난해 전직 대통령이었던 분이 북한의 김정은으로부터 선물로 받은 풍산개 문제로 온 나라를 소란스럽게 한 적이 있었다.
오늘 중동의 석유부국 중의 한 나라인 카타르에서는 우리나라도 출전하여 선전한 월드컵 결승전이 있었다. 이 월드컵 경기에서는 전지전능의 신이 아닌 인간의 판정에 대한 오심을 조금이라도 없애도록 하기 위해 비디오 보조심판이 첫 실험되기도 했다. 이는 모두 사실에 근거하여 판정을 함으로써 불신을 없애고자 하는 것이다. 이렇듯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모든 것은 점차적으로 신이 내린 판단에 가까이 다가가고 있는 셈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몇몇 국회의원들의 언행을 들여다보면 사실을 왜곡하는 정도를 넘어서 기망하고 있는 현실이다. 그 대표적인 국회의원들을 들어보자면, 김의O·장경O·고민O·김용O·황운O·윤미O·최강O 의원 등을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이들은 귀로 들을 때에 사실대로 자세히 듣지 않아 오류가 생겨나고, 눈으로 볼 때에 사실대로 자세히 보지 않아 과오가 생겨나는 데도 불구하고, 자신의 오류와 과오에 기인한 언행이 국민을 궁지로 몰아넣을 수 있다는 것을 망각하고 있다. 이들의 공통점은 모든 소리를 있는 그대로 듣지 못하고, 모든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한 채 주관적인 편견에 사로잡혀 듣고 보는데 있다. 그래서인지 몰라도 이들이 어떤 말을 하거나 행위를 하
뉴턴은 1687년 프린키피아에 인류의 과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업적이라고도 할 수 있는 3가지의 운동법칙을 발표하였다. 이 운동법칙은 힘이 작용하는 물체가 어떤 운동을 하는지를 기술하는 자연법칙으로 고전역학의 토대를 이룬다. 첫 번째, 관성의 법칙은 “외부에서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운동하는 물체는 계속적으로 그 상태로 운동하려고 하고, 정지한 물체는 계속적으로 정지해 있으려고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 가속도의 법칙은 “힘이 가해졌을 때 물체가 얻는 가속도는 가해지는 힘에 비례하고 물체의 질량에 반비례한다.”는 것이다. 이는 물체의 질량이 클수록 가속도는 적어진다는 것이다. 세 번째, 작용 반작용의 법칙은 “모든 작용에 대해 크기는 같고 방향은 반대인 반작용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는 두 물체의 서로에 대한 상호작용은 언제나 크기가 같고 방향만 반대인 것으로 힘은 오로지 외부로부터 오며 물체가 물체 자신에게 힘을 작용시킬 수 없다는 것이다. 지난 10월말 할로윈 데이를 앞두고 이태원에서는 150명 남짓의 사람들이 압사하고 또 150명 남짓의 사람들이 부상을 입는 참사가 있었다. 어떤 사건에 대한 원인을 알고자 하면 그것과 관련한 것이 과거에 어떠한 상태
거리를 거닐다 수북히 떨어진 낙엽을 보면서 얼마남지 않은 한해를 아쉬워하게 된다. 미국에서의 삶은 그 어느 곳 보다도 바쁘게 돌아가는 거 같다. 기회의 땅으로 불리는 이민자의 나라 미국에서 정착을 잘하기 위해서는 그야말로 앞만 보고 달려야 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자본주의의 본 고장답게 자신의 삶은 스스로가 적극적으로 개척해 나가야 기회가 오고 미국의 꿈을 이룰수 있다. 미국에 온 탈북민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오늘은 지난 2009년 김정은 정권의 압박으로 너무나도 고통스러웠던 고향 북한 평안북도를 뒤로 하고 탈북하여, 2010년 출산 한달만에 아버지가 먼저 와계신 한국에서 10년 가까이 생활을 하다가, 2019년 미국에 와서 정착한 사라 김씨의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사라 김씨는 북한에서 굶주림과 북한당국의 여러가지 박해로 인해 먼저 남한으로 탈북을 했었다. 현재 남성용 정장과 여성용 드레스 맞춤형 양복점에서 양복기술자로 일하고 있는 그녀는 현재 어느 정도 탄탄해져가는 기술과 미국 생활에의 적응으로 점차 미국의 꿈을 이뤄가고 있지만, 처음부터 그녀의 미국 생활이 녹녹했던 것만은 아니었다. 미국 이민에 대한 준비가 잘되지 않은 채 갑자기 미국에 온 그녀는
계속 추워져가는 날씨가 겨울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울창하고 푸르렀던 나무잎들은 하나둘씩 누렇게 변하며 떨어져가고 날로 초라해지는 모습이다. 이렇게 겨울이 성큼 다가오니 얼마남지 않은 한해를 돌아보며 많은 생각에 잠긴다. 특히 북한의 폭정을 피해 온 미주 탈북민들이 이곳에서 잘 정착하고 있는지가 무엇보다 궁금해진다. 오늘은 지난 2014년 1월에 북한의 반인권적 행태를 참다못해 탈북, 중국과 태국을 거쳐 2014년 11월에 이곳 미국 시카고에 와서 약 8년간 생활을 하고 있는 탈북민 김마태씨의 의견을 중심으로 미국에 온 탈북민들의 만남과 정착에 대하여 이야기를 하려 한다. 마태씨는 지난 5년간 한국정부가 북한과의 우호관계를 중시하며 탈북민들을 박대했기에, 많은 단체들이 준비했던 행사들이 열리지 못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미주 탈북민들의 모임의 장들이 만들어지지 못했다고 큰 불만을 터뜨리기도 하였다. 마태씨는 많은 탈북민들이 윤석열 대통령과 새정부에 많은 기대를 하고 있다고 말한다. 오랫동안 미국생활을 하며 한인사회에도 잘 정착한 것으로 알려진 김마태씨는 주빌리 기도회 모임들이나 기타 다른행사등에서 탈북민들을 만나곤 했었지만, 현재는 모이는 열의가 작아졌다고 말
우리나라의 정치권 인사들이 하는 행동규범의 전형은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아전인수(我田引水)에 침소봉대(針小棒大)로 교언영색(巧言令色)하는 것이다. 그 다음은 무중생유(無中生有)를 위해 폴리프로페서(poly-professor), 폴리저널리스트(poly-journalist) 등의 어용(御用) 인사를 동원하는 것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지지 군중을 동원하고 떼로 거리로 나서서 삼인성호(三人成虎)하면서 적반하장(賊反荷杖)하는 것이다. 그러나 노자가 도덕경에서 “기자불립 과자불행˝(企者不立 跨者不行)이라 하였듯이, 일순(一瞬)도 넘기지 못하고, “까치발로는 잘 서지 못하고 큰 보폭으로는 잘 걷지 못하는” 몰골로 된다. 먼저 환심의 교묘한 언사(言辭)와 아첨의 안색을 하는 교언영색(巧言令色)은 곧바로 시비(是非)를 어지럽게 하고 자신의 인덕을 상실하게 하는 교언난덕(巧言亂德)이 되고 만다. 그 다음으로 진실과 거짓을 뒤섞어 실책을 유도하는 무중생유(無中生有)는 곧바로 공연히 자신의 허물을 드러내어 화를 자초하는 춘치자명(春雉自鳴)이 되고 만다. 그리고 더 나아가 도둑이 도리어 매를 드는 격인 적반하장(賊反荷杖)은 곧바로 사마귀가 앞다리를 들어 수
차갑게 불어대는 중서부의 쌀쌀한 바람과 잦은 비는 평균 기온을 떨어뜨리며 겨울이 곧 오겠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또 기나긴 겨울을 보내면서 여러가지 삶을 걱정할 것이다. 특히 지옥과 다름없는 북한을 탈출하여 이곳 미국에 정착한 탈북민들은 세계최강의 부자나라에 와있지만 여전히 여러가지 이유로 정착이 쉽지만은 않았다. 북한에서 영어를 거의 접해보지 못해 발생하는 언어의 문제, 공산권에서 성장하여 매우 다른 체제 적응에 관한 것, 영주권이 없어서 겪는 문제 등등 여러가지 이유가 있다. 그래서 오늘은 미국 켈리포니아에 거주하면서 미주 탈북민들의 정착을 도와주고 있고, 본인 자신도 평양 출신으로 탈북하여 현재 미주 탈북민협회를 이끌고 있는 전혜정 회장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풀어보고자 한다. 전회장은 탈북민들은 다른 한국인이나 여러나라의 이민자들보다 미국 정착이 훨씬 어렵다면서 각별한 도움이 그들에게 필요하다고 말한다. 전씨 이야기에 따르면 미국에 오는 탈북민들은 막상 미국에 와서 안착하면 매우 만족해 한다고 한다. 왜냐 하면 다른 어느 나라에 정착하는 것 보다 자유롭고, 전 세계의 이민자들이 모여서 각자의 재능과 특성을 살려
스포츠·음악·미술·연예계 인사들 중에는 잘못된 인성에도 불구하고 큰 업적을 남긴 사람이 많다. 하지만 뭇 사람들로부터 비난을 받고 견디지 못한 채로 사라져 간 악마의 재능을 가진 사람도 있다. 또 SF 작품이나 만화·애니메이션·게임 등의 소설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 중에는 과학에 대한 뛰어난 지식과 기술 등을 가졌지만 간혹 이해하기 어려운 가치관의 욕망으로 몰락해 가는 악마의 재능을 가진 매드 사이언티스트(mad scientist)도 있다. 우리 모두 인간으로서 신 앞에 허물이 없을 수 없으면서, 간혹 이들의 작은 허물조차 용서의 관용을 베풀 수 있는 마음을 조금도 가지려 하지 않고 있다. 더 나아가 근간에는 자신의 허물은 둘러보지 않은 채 남의 허물에 대해서는 용서할 마음이 조금도 없음은 물론이다. 특히, 정치권에서 활동하는 이들에게서 진영논리에 의한 비판에 대해서는 용서의 관용이 자리할 여지는 추호도 남겨두지 않고 있다. 이들은 그나마 너그럽게 보아 넘길 수도 있는 것조차 아전인수(我田引水)에다 침소봉대(針小棒大), 또는 무엇인가 부족하다고 느끼면 진실과 거짓을 뒤섞어 실책을 유도하는 무중생유(無中生有)를 한다. 그리고는 이것도 모자란다고 여기면 떼로 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