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표의 제3자 뇌물죄 기소 현실화

- 이제는 멈춰야 할 때, 죄 값은 반드시 치뤄야
- 여전한 방탄 민주단(民主團)... 국민은 다 알고 있어

 

 

최근 북한에 불법 송금한 혐의로 구속된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의 중형 선고로 인해, 이재명 대표의 제3자 뇌물죄 기소가 점점 현실화 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민주당은 이재명 대표를 겨냥한 검찰의 칼날을 피하기 위해 강경한 방판국회 전략을 적극 가동 중이다.

 

이화영 전 부지사의 구속은 단순한 개인의 비리가 아닌, 북한이라는 특수한 사회와의 연관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북한은 결코 이화영이라는 경기도 고위 간부를 위해 움직이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모든 초점은 오로지 1인자의 동향에 맞춰져 있으며, 이는 북한 체제의 특성상 당연한 일이다. 북한의 모든 행보는 해당 1인자의 대권에 대한 포석까지 염두에 두고 있었음은 삼척동자도 다 알고 있는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민주당의 강경 대응은 이재명 대표를 보호하기 위한 전략 외에 아무것도 없다. 민주당은 방판국회를 통해 검찰의 수사를 저지하고, 이재명 대표에 대한 기소를 막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지만, 이러한 대응이 성공 여부를 떠나 참고만 있는 국민들에게 어떤 인상만을 남길지는 미지수다.

 

국민들은 이번 사건을 통해 정치권의 부패와 그로 인한 외교적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다. 민주당이 이재명 대표를 보호하기 위해 강경 대응을 계속한다면, 이는 오히려 국민들의 반감으로 배가 뒤집히는 파고를 경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시민단체의 한 관계자는 “폭주 기관차가 결국 막바지에 이르렀다. 멈추든지 아니면 전복되든지 둘 중 하나일 것”이라며, “이미 국민들은 다 알고 있다. 선을 넘으면 참혹한 현실을 목도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말했다.

 

이 · 상 · 만 <취재기자>

핫 뉴스 & 이슈

푸틴의 도박과 북러 동맹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이 서명한 '포괄적인 전략적동반자관계에 관한 조약'(북러 조약)은 한반도와 국제사회의 안정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이 조약은 사실상 1961년 북한과 소련 간 체결된 '우호협조 및 상호원조에 관한 조약'의 자동군사개입 조항을 부활시키며, 한반도 유사시 러시아의 군사 개입 가능성을 크게 높였다. 푸틴은 과거 자유민주세계와의 교류와 협력을 통해 러시아의 정치경제를 발전시켰다. 하지만 이번 북러 조약은 푸틴의 이러한 행보에 역행하는 결과로, 러시아를 다시 전체주의 세력과 손잡게 만들었다. 이는 자유민주주의 세계에 대한 푸틴의 배신이며, 국제사회의 신뢰를 저버리는 행위라고 볼 수 있다. 북러 조약 제4조는 "쌍방중 어느 일방이 개별적인 국가 또는 여러 국가들로부터 무력침공을 받아 전쟁상태에 처하게 되는 경우 타방은 유엔헌장 제51조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러시아 연방의 법에 준하여 지체 없이 자기가 보유하고 있는 모든 수단으로 군사적 및 기타 원조를 제공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동맹을 강화하고, 한반도 유사시 군사적 개입을 통해 북한을 지원할 수 있음을 명확히 한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한반도의 자유통일을 염원하는 진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