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간보기’ 전략, 오물 풍선 잠정 중단 발표

- 3,500여개 오물 풍선 남쪽으로 살포 주장

 

북한이 남쪽으로의 오물 풍선 살포를 잠정 중단하겠다고 김강일 국방성 부상 명의로 2일자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했다.

 

이와 동시에 한국이 다시 북한으로 전단을 보내온다면 살포를 재개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이러한 발표는 이번 오물 풍선 살포로 소기의 성과를 낸 것으로 판단한 조치로 보이지만, 양측 간의 긴장은 여전히 끝나지 않은 상황이다.

 

김강일 북한 국방성 부상은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담화에서, 오물 풍선 살포는 한국에 대한 "철저한 대응조치"라며, 이를 통해 한국 측에 충분한 경고를 전달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만약 한국에서 다시 반공화국 삐라 살포를 재개한다면, 이전보다 더 많은 양의 휴지와 오물을 집중적으로 살포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지난 5월 28일부터 6월 2일까지 북한은 총 15톤의 휴지쓰레기를 3,500여 개의 기구에 담아 남쪽 국경 부근과 수도권 지역에 살포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합동참모본부는 2일 오후 1시까지 서울·경기·충청·경북 등의 지역에서 720여 개의 오물 풍선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대북 전문가들은 북한의 이번 잠정 중단 선언이 북한 특유의 ‘간보기’ 전략이라는 분석이다. 북한이 설정한 조건에 따라 언제든지 상황이 다시 재개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자유대한연대 이강호 공동대표는 "오물 풍선으로 차량이 파손되는 등 민간인의 피해에 대해 북한의 야만적 행동은 응당 댓가를 치뤄야 할 것"이라며, "일반 삐라와 달리 오물 풍선이 고압선 등에 떨어져 정전 내지 화재, KTX 운행 중단 등을 유발할 수도 있었기에 테러 공격에 준하는 대응책으로 응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 또한 북한의 이번 조치에 대응해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 등의 대응 방안을 단계적으로 수위를 조절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김 · 성 · 일 <취재기자>

핫 뉴스 & 이슈

[지만호 칼럼] 헌정 파괴에 맞설 당 대표가 필요하다
지난 4월 10일 있은 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에 참패한 후 치러지는 국민의힘 당 대표 선거에 출마한 4명의 후보들을 보면,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 인천 계양 대전에서 패한 원희룡 전 제주지사, 동작에서 살아남은 나경원 그리고 윤상현 현역 의원이다. 모두가 하나같이 자유애국진영의 쟁쟁한 인재들이자 국민의힘의 큰 자산들이다. 하지만 당대표로 한사람만을 선택해야하는 상황으로 국민들의 고민이 크다고 하겠다. 23일 이들의 출마변을 보면 여소야대의 상황을 어떻게 슬기롭게 헤쳐나갈 것인지 뚜렷한 비전을 찾아보기가 아직 이른지 확실한 감이 안 잡히는 가운데, 자기만이 윤석열 대통령과 정부를 지키는 적임자라는 막연한 자기 달변이 전부이다. 그런 가운데 한동훈 후보만은 야당에서 특검 1순위로 뒤집기 한판을 벼르고 있는 채 상병 특검을 정면으로 돌파하여 정리해 보겠다는 선제공격으로 치고 나왔다. 모든 일이 변화로 새로움을 창조하려면 첫째 생각의 변화를 시도해보려는 고정관념의 틀에서 벗어보자는 한동훈의 제의에 찬성하나, 그가 가지고 있던 지지율마저 도로 빼앗기고 있다는 우려 섞인 여론이 만만치 않다. 그러나 윤석열 정권 퇴임까지 물고 늘어질 후환을 지워보자는 발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