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럼 항복(降伏)하자는 거냐?”

- 연이은 미사일 발사에도 결의와 대화 타령
- 북녘의 도발에 강한 응징·보복 전례 있나
- 그깟 무력시위와 경제 제재가 무슨 효과
- ‘종전=항복 선언’... 국민이 단호히 막아야

  “청와대를 까러 왔수다. 박정희 목을 따러 왔시오!”

 

  엊그제 1월 21일이다. 54년 전(前)인 1968년... 북녘 ‘민족보위성(民族保衛省)정찰국’(124군부대) 소속의 무장공비 31명이 서울 세검정고개까지 내려왔다. 이 사건 이래 북녘의 무장공비 침투가 여러 차례 있었다. 이어서 최근까지 갖가지 도발이 계속되어왔다.

 

  1·21사태 며칠 뒤인 1968년 1월 23일 북녘 인근 공해상에서 미국 해군 정보수집보조함 푸에블로호가 북녘 초계정에 의해 나포되었다.

  1년여가 지난 1969년 4월 15일에는 미군 EC-121 조기 경보기가 북녘 인근 공해상에서 임무를 수행하던 중 북녘 전투기에 격추당해 승무원 31명 전원이 전사했다.

  1976년 8월 18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내 UN군 측 제3초소 부근에서 북녘 경비병이 도끼로 미군 장교 2명을 살해하고 경비병 9명에게 중경상을 입혔다. 그리고 이런저런 우여곡절의 세월을 지나서...

 

 

  2022년 1월 북녘의 ‘극초음속+지랄탄 미사일’이 연거푸 동해상으로 날았다. 전부가 핵(核)탄두를 실어나를 수 있는 것이란다. 분명코 가지고 있는 미사일의 숫자를 줄이려는 짓거리, 즉 군축(軍縮)의 일환은 아니다.

 이에 대해, 양키나라가 ‘공격’이라고 발끈하면서 압박의 끈을 조일 조짐을 보이자...

 

“선결적·주동적으로 취했던 신뢰 구축 조치들을 전면 재고하고 잠정 중지했던 모든 활동을 재가동하는 문제를 신속히 검토하라는 지시를 해당 부문에 포치(하달)했다...”

 

  신뢰는 무슨, 눈 가리고 아웅 해왔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와 핵실험 중지’철회(撤回)할 수 있다는 댓거리다. 이럴 즈음이면 등장하는 게 있다. 이미 몇 번이나 듣고 본 적이 있었다.

 

“우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라 북한의 모든 핵무기, 그 외의 대량살상무기, 모든 사거리의 탄도미사일 및 그와 관련된 프로그램 및 설비들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해체(CVID)를 강력히 결의한다...”

 

  양키나라와 왜국(倭國)이 공동성명을 발표했다고 한다. 이런 ‘결의’와 함께...

 

미국의 원자력(핵)추진 항모 3척과 대형 강습상륙함 2척 등 항모급(級) 함정 5척이 최근 이례적으로 동아시아에 집결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중국해·대만해협 등에서 갈등을 빚고 있는 중국은 물론 최근 잇단 미사일 도발을 하고 있는 북한을 겨냥한 무력시위라는 평가가 나온다...

 

 

  그렇다. 힘을 보여준다. “하지마! 하면 혼난다!”... 지켜봐야겠지만, 거기서 더 나갈까?

 

  이런 와중에, 핵탄두를 장착한 북녘 미사일의 최초·궁극 과녁이자 목표인 이 나라에서는 과연 어떤 일들이 벌어졌고, 벌어지려나.

 

  동해에 꼬라박는 미사일들을 쳐다보며, 거의 하소연이다. 일전에 북녘 ‘최고 돈엄(豚嚴)’의 누이, ‘비쩍 마른 암퇘지’가 미사일 발사와 관련 “도발로 매도하지 마라!”는 취지로 ‘일꿀’한 적이 있었다.

  그래서 그런지, 그저 “유감”, “강한 유감”, “매우 유감”... 감 타령 뿐이다. 그나마 ‘사과’가 아니라서 다행? 이에 반해...

 

  ‘기존 한-미-일 미사일 방어망은 탐지도 어렵고 요격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극초음속미사일이 날고 나서, 그 누군가가 “선제 타격”을 입에 올렸다. 그러자 기다렸다는 듯이 ‘평화의 떼창’이 요란하게 터져 나왔다.

 

  “전쟁하자는 거냐?”

 

  이에 더하여 중동(中東)의 모래바람을 헤치고 바다 건너 들려온 절절한 그분의 기도(?) 소리가 어우러졌다. 자못 감동적이다.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세 차례의 남북 정상회담을 개최할 수 있었으며, 두 차례의 북-미 정상회담, 남-북-미 3자 회담을 개최되면서 실질적인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구축했다... 2018년 9월 19일 남북 신 군사협정으로 군사적 긴장이 완화됐다...

평화는 우리가 강하게 염원할 때 이루어질 것...”

 

  평화는 염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란다. 무력도발에 대한 응징이 결코 해법이 될 수 없다질 않나. 이 나라 국민들이야 동의하든 말던, 북녘의 ‘백도혈통’(百盜血統)은 3대에 걸쳐 경험에 의해 철저히 학습되어 있다고 한다.

 

  1·21사태를 위시한 현재까지의 도발에 대해서도 거의 대동소이했다. 위에 열거한 푸에블로호 납치, EC-21기 격추, 판문점 도끼 만행의 후과(後果)가 과연 어찌했는지를 더듬어보자.  그 이후 세월 속에서 양키나라에 이리저리 깐죽거린 일들까지도...

 

  가슴 졸이며 모가지가 붙어있는지를 더듬어봐야 할만큼의 응징·보복이 과연 있었는가. 소총 한 발, 심지어 짱돌 하나라도 제대로 날린 적이 몇 번이나 되는가. 저들이 가장(?) 겁내 한다는 K-전략무기인 대북 삐라와 확성기는 타의 반 자의 반 이미 폐기되었고...

 

  물론 대북 경제제재가 있지 않느냐고 반문(反問)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제재 강화로 인한 경제난 심화와 그에 따른 인민들의 고통은 그 이유를 양키나라에 온전히 전가(轉嫁)하여 통제와 억압을 가일층하는데 활용하면 되고, 또 그리해오고 있지 않던가.

  더군다나 핵폭탄을 머리에 얹은 채, 평화는 ‘강한 염원’에 맡기면서 자발적으로 퍼주겠다는 남녘의 얼간이들이 쌔버렸는데 뭔 걱정일 텐가.

 

  아무개 신문에 이런 기사가 실렸다. 그 신문의 전통과 공신력을 감안하면, ‘가짜뉴스’는 결코 아닐 듯하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1월]21일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최근 며칠 사이 북측 최고위층과 접촉했다”며 “단순히 원론적인 얘기만 오간 게 아니고 남북 관계 진전을 위한 ‘밀도 있는’ 대화가 오갔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북한의 도발은 대화를 앞두고 미국에 보여주기 위한 일종의 ‘몸값 높이기’ 제스처로 보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도 21일 YTN 인터뷰에서 북한이 종전선언 제안에 “조만간 긍정적으로 반응 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가정보원은 이날 또 미국이 지난해 12월 유엔을 통해 북한에 코로나19 백신 6000만 도스 지원을 제안했고, 북한도 상당한 관심을 보였다고 전했다...

 

  저런 ‘종전(終戰)선언’이라면... 이 나라 국민들이 이제 힘을 모아 필사적으로 외쳐야 하지 않겠는가.

 

  “그럼, 항복(降伏)하자는 거냐?”

 

 

  혹시 사후(事後)에라도 국민 스스로 답을 결정해 보일 선택의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 대한(大寒) 다음 절기는 입춘(立春)이다.

 

李 · 斧 <主筆>

핫 뉴스 & 이슈

세계를 울린 ‘나발니’, 독일 드레스덴 평화상 수상
러시아 야권 지도자 알렉세이 나발니가 시베리아 수용소에서의 비극적인 사망에도 불구하고, 그의 끊임없는 인권 옹호와 부패 반대 투쟁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독일의 권위 있는 드레스덴 평화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고 도이체벨레가 보도했다. 나발니의 사후에도 그의 정신은 계속 살아 숨 쉬고 있으며, 이번 수상은 그의 헌신과 용기에 대한 국제적인 인정을 상징한다.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의 가장 강력한 라이벌이었던 나발니는 고위 관료의 부정부패를 폭로하고 시민들을 대규모 반정부 시위로 이끌었다. 나발니의 사망 소식은 전 세계적으로 충격과 슬픔을 안겼으며, 그의 배우자 율리야 나발나야는 망명 생활을 하며 남편의 유산을 이어가고 있다. 나발나야는 이번 드레스덴 평화상 시상식에서 남편을 대신해 수상식에 참석하여 상과 함께 1만 유로의 상금을 받았다. 드레스덴 국립 극장 앙상블은 나발니의 법정 연설을 주제로 한 공연을 펼쳐, 그의 용기와 정의에 대한 투쟁을 예술적으로 표현했다. 이번 시상식의 축사는 요아힘 가우크 전 독일 대통령이 맡아, 나발니를 "모든 품위 있는 러시아인의 아이콘"이라고 칭송하며 그의 공헌을 기렸다. 주최 측은 나발니의 행동이 인권 옹호자들에게 용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