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하긴 급했나... 거긴 왜 갔을까?

- 단지 표(票)가 아쉬워 찾았을 텐데...
- 영웅의 묘역에서 ‘공과’(功過) 타령이라
- “메뚜기 제철 돌아오니 논에 간다”
- 누울 자리 봐 가며 발을 뻗어야지...

 

“대한민국은 건국 이후 역사에 많은 굴곡이 있었고, 역대 대통령들은 공과(功過)가 있었지만 안아야 할 우리의 역사이고 공과(功過)도 뛰어넘어야 할 우리의 과제이다...”

 

  지난 2017년 4월... ‘5·9 장미 대선’을 한 달여 앞두고 국립현충원에서 하신 말씀이다. 그날의 일을 아무개 일간지는 이렇게 논(論)했다.

 

문 후보는 이승만 박정희 김대중 김영삼 전 대통령 묘역을 차례로 찾았다. 이승만 박정희 전(前) 대통령 묘소를 참배한 것은 대권 주자로서 ‘통합’에 무게중심을 둔 행보로 해석된다...

 

  지난 4년 반여 동안 이 나라의 총체적인 뒷걸음질을 진두지휘(陣頭指揮)하신 분이 그랬다. 그 무슨 ‘통합’이나 ‘외연 확장’을 내세웠다. ‘공과(功過) 타령’이 뒤따랐다.

  그리고 세월은 속절없이 흘렀다. 엊그제 일이다.

 

이 후보는 참배에 앞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승만, 박정희 前 대통령 참배 이유를 묻는 질문에 “5년 전 (대선) 경선 당시 내 양심상 그 독재자와 한강 철교 다리를 끊고 도주한, 국민을 버린 대통령을 참배하기 어렵다고 말씀드린 바 있다”고 말했다.

이어서 “그러나 5년의 세월이 지나면서 저도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고, 저의 사회적 역할도 책임감도 많이 바뀌고 커졌다”고 덧붙였다...

 

  이 나라 건국·호국과 중흥을 이끈 두 어르신에 대해 이제 깨우친 바가 있는가 했다. 하지만 ‘혹시나’는 그저 ‘역시나’였다.

 

그는 “좋은 것도 나쁜 것도 역사의 한 부분”이라면서, “공(功)은 기리고, 과(過)는 질책하되 역사의 한 부분으로 기억하는 것은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또 “국민의 대표가 되려면 특정 개인의 선호보다는 국민의 입장에서, 국가의 입장에서 어떤 것이 더 바람직한지를 생각해야 한다고 지금은 생각한다”고 말했다...

 

  시대착오(時代錯誤)의 가치관은 ‘갸가 갸’ 또는 ‘거기서 거기’일 따름이다. 역시 ‘그 밥에 그 나물’이 딱 맞다.

 

  비록 지난 5년간 많이 망가지긴 했지만, 그럼에도 현재의 대한민국은 건국·호국 대통령과 중흥(中興) 대통령의 과(過)를 들추어 내보일 틈을 이미 메꾸고도 남았다. 두 어르신의 ‘공과(功過) 타령’을 주둥이에 담는 건 이미 쉰내 나는 묵은김치를 씹는 것과 다를 바 없지 않은가.

  더군다나 ‘역사’ 운운하며 감히 두 어른을 평가하려는 듯한 건방짐에 아연 놀랄 수밖에... 과연 주제가 되는가. “니 꼬라지를 알라”는 속설(俗說)이 떠오른다는 국민들이 대부분일 게다.

 

 

  그러면서 “국민의 입장에서, 국가의 입장에서”라는데... 국민과 국가는 함부로 파는 게 아니다.

  이 대목은 동네 강아지들까지 알고도 남는다. "메뚜기 제철 돌아오니 논에 간다"고...

  표(票) 구걸용 생쑈이거나, 자신들의 색깔을 호도(糊塗)하려는 기만(欺瞞) 술책이란 걸 누군들 모르겠는가.

  어찌 됐든, 급해서 가긴 갔나 본데...

 

  조신(操身)하게 머리 숙여 그간 잘못된 인식과 자세를 사죄(謝罪)한 후, “앞으로 두 어른의 정신을 제대로 이어받겠습니다”라고 했더라면 국민들의 마음이 다소나마 움직였을 것이다. 그러나...

 

  결과적으로는 두 어르신을 한 번 더 모욕한 꼴이 되고 말았다. 이 나라 정체성과 이 시대 상황에 대한 무시(無視)와 무지(無知), 더불어서 표리부동(表裏不同)의 인간성마저 널리 알렸다. 표(票)가 될 턱이 있다고?

  “누울 자리를 보고 다리를 뻗어라”는 옛말이 딱 들어맞는다는 걸 확인했다고나 할까. 이쯤에서 글을 마무리하며...

 

  동네 강아지들 싸움터가 돼 가고 있는 선거판이라지만, 한마디 주워섬긴다.

 

  이 나라, ‘1948년 8월 15일 세워진 대한민국'의 건국·호국과 중흥(中興)을 이끈 영웅은 결코 허접한 속물(俗物)들의 표밭갈이에나 쓰이는 노리개가 될 수 없다.

  그리하려는 작자나 무리는 결코 국민의 선택을 받아서는 안 된다. 아니, 오히려 심판받아 마땅하지 않겠는가.

 

 

“저들은 영웅을 결코 존경하거나 사랑하지 않는다. 다만 때때로 이용할 뿐이다.”

 

李 · 斧 <主筆>

핫 뉴스 & 이슈

[기자생각] 518, 그늘 속의 영웅들
1980년 5월, 광주에서는 수많은 민간인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민주주의의 발전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계엄군으로 참여했던 군인들은 역사의 어두운 그림자 속에 남겨져 있다. 이들은 역사의 죄인일까.. 당시 광주에서 계엄군으로 참여했던 군인들은 국가의 명령에 따라 행동했음은 물론이다. 그들에게 주어진 사명은 내란 진압이었으며, 이는 대한민국의 안정과 보호를 위한 것으로 여겨졌다. 이들의 선택은 단순히 '좋고 나쁨'의 문제가 아니라, 그 시대 상황 속에서 내릴 수밖에 없었던 어려운 결정이었음을 인정해야 한다. 어쨌던 그들은 역사의 한 장면 속에서 피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했던 우리와 같은 국민들이었다. 역사의 재평가는 이러한 목소리를 포용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시작된다. 민주주의의 발전과 국가 안보의 중요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은, 대한민국이 직면한 도전을 헤쳐 나가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다. 대한민국은 지금도 여전히 북한의 지속적인 위협과 내부적인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가의 안보를 지키기 위한 준비와 결단력은 한시도 미룰 수 없는 사명임에 틀림없다. 과거의 사건을 통해 얻은 교훈을 바탕